찾아오시는길 | 로그인 | 회원가입 | 자유게시판 | 목차보기 | 즐겨찾기+
MONTHLY FOCUS | BRAND KOREA | ECONOMY TOP-CLASS | EDUCATION | ISSUE&PEOPLE | WELL-BEING LIFE | TRAVEL | MEDICAL | WIDE CULTURE | NEWS

영화로 교감하는 특별한 순간
아시아의 새로운 사진 예술 ...
삶의 흔적 역사가 되다
느슨한 동질성을 추구하는 서...
청년작가를 발굴·지원하는 글...
건강한 미래를 열어가는 바이...
순수한 천연재료로 건강과 행...
영화의 도시 스무 살, 전주
시대의 자화상
죽음으로 질주하는 여자

Home > WIDE CULTURE > EXHIITION
무관심 속에서 꽃피운 초현실주의적 세계

<초현실주의와 한국근대미술> 국립현대미술관 덕수궁 | 2025년 05월호 전체기사
twitter facebook me2day 요즘 인쇄

a.jpg

국립현대미술관은 20세기 한국미술사에서 소홀히 다루어진 근대미술 작가를 발굴하고 재조명하기 위해 2019년 처음으로 개최한 <근대미술가의 재발견: 절필시대> 이후 두 번째 시리즈로 <초현실주의와 한국근대미술>을 4월 17일부터 7월 6일까지 국립현대미술관 덕수궁에서 개최한다.  

프랑스에서 시작된 초현실주의는 인간 정신을 구속하는 모든 억압으로부터 해방을 꿈꾸며 예술로써 삶의 중요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 혁명적인 운동으로 1920년대 말 전 세계로 확장되었다. 한국 미술계에서는 1930년대 말 김환기, 이중섭, 유영국 등 일본 유학생들을 통해 시도되었으나 식민과 전쟁, 분단으로 인해 이후 적극적으로 전개되지 못했다. 

비록 한국미술사에서는 초현실주의가 주류가 되지는 못했지만 세상의 무관심에도 불구하고 평생 초현실주의를 지향한 작가들이 있다. 김욱규(金旭奎, 1911-1990), 김종남(金鐘湳, 마나베 히데오(眞鍋英雄), 1914-1986), 일유(一有) 김종하(金鍾夏, 1918-2011), 신영헌(申榮憲, 1923-1995), 구로(久路) 김영환(金永煥, 1928-2011), 향보(鄕步) 박광호(朴光浩, 1932-2000) 등 6인의 작가는 추상미술, 실험미술, 민중미술 등 당대의 전위를 뒤쫓는 대신 자신만의 초현실주의적 세계를 탐구하고 완성했다. 

전시는 총 2부로 구성되며 6명의 작가를 소개하기에 앞서 1920년대 말~1930년대 초 ‘초현실주의’라는 용어가 처음으로 등장한 이래 초현실주의가 한국에서 어떻게 수용되고 전개되었는지 문화번역 관점에서 살펴보는 것으로 시작한다. 20세기 초현실주의를 대표하는 시인이자 미술평론가 앙드레 브르통의 「초현실주의 선언」의 마지막 문장에서 제목을 따온 1부 ‘삶은 다른 곳에 있다’(1전시실)에서는 작가가 의식적으로 초현실주의를 실천하지는 않았지만 작품 속에서 그 유산을 발견할 수 있는 작품들로 구성됐다. 눈에 보이지 않는 꿈과 무의식의 세계, 현실의 다양한 차원을 경험하게 하는 작품과 자동기술, 전치, 콜라주, 이중영상, 왜곡 등 초현실주의의 주요 기법을 사용해 우연과 경이, 혁명의 가능성을 꾀한 작품들을 살펴본다. 

2전시실부터 4전시실까지 이어지는 2부에서는 6명의 작가를 본격적으로 조명한다. 2전시실에서는 1930년대 일본에서 미술 공부를 하며 당시 추상과 함께 최고의 첨단미술로 간주되었던 초현실주의를 직접 체험했던 김종남과 김욱규를 소개한다. 마나베 히데오(眞鍋英雄)라는 이름으로 더욱 잘 알려진 경남 산청 출신의 김종남은 일본미술학교 졸업 이후 줄곧 일본에서 작업하며 재일조선인이라는 정체성으로 인해 겪은 내적 갈등을 작품 속 ‘숨은그림 찾기’ 같은 기묘한 표현법으로 그려냈다. 함경남도 함흥 출신인 김욱규는 가와바타화학교에서 공부했다. 1.4후퇴 때 아내와 아이들을 두고 월남한 그의 작업에는 이산(離散)의 트라우마가 짙게 배어있다. 미군부대에서 초상화를 그리던 일로 어렵게 생계를 유지하던 그는 1970년대부터 세상으로부터 단절된 채 작업에만 전념하여 절대고독 속에서 꿈과 현실, 삶과 죽음, 절망과 희망을 오가는 자신만의 초현실주의적 세계를 완성했다.  

3전시실에서는 한국근현대미술에서 중시했던 전통의 현대화, 민족 정체성 탐구에 구속되지 않고 개인의 내밀한 욕망이나 에로틱한 환상을 그려낸 김종하와 박광호를 소개한다. 이들은 대한민국미술전람회 심사위원으로 활동하거나 대학에서 후학을 양성하는 등 다른 네 명의 작가에 비해 상대적으로 미술계와 교류를 가졌다. 일본 제국미술학교에서 서양화를 공부한 김종하는 1956년 도불(渡佛) 이후 본격적으로 초현실주의를 탐구했다. 그는 사실주의 기법으로 관능적, 신화적 세계를 구축했다. 박광호는 〈결(結)〉, 〈향(響)〉, 〈음양(陰陽)〉, 〈요철(凹凸)〉, <군집(群集)〉등 연작을 통해 억압된 정념과 물신숭배적 욕망을 드러낸다. 그는 초현실주의 오브제에 대한 이론적 연구를 자신의 작업에 적용했다.

4전시실에서는 김영환과 신영헌을 소개한다. 이들의 작품은 도상이나 공간구성, 기법 등에 있어 조르조 데 키리코나 살바도르 달리의 작품과 같은 유럽 초현실주의의 특징과 함께 해방 후 세워진 국내 미술대학 1세대로서 한국 근대사 및 미술사의 토대 위에 형성된 독특한 초현실주의적 세계를 보여준다. 김영환은 함경남도 안변 출신으로 홍익대를 졸업하고 반(反)국전을 내세운 현대미술운동으로 작가 활동을 시작했지만 곧 미술계와 거리를 두고 문학성, 환상성 강한 구상과 기하학적 추상, 애니미즘적 세계를 그렸다. 평안남도 평원 출신인 신영헌은 서울대에서 서양화를 수학했다. 주로 실향민화가, 종교화가로 알려진 그는 전쟁과 분단으로 고통 받는 조국 산천과 자본주의로 비인간화된 도시의 모습을 인간의 형상과 결합한 기이한 이미지로 표현했다.  

김성희 국립현대미술관장은 “한국근대미술사에서 잘 알려지지 않은 작가를 발굴, 소개하여 미술사를 보다 다채롭게 바라보고자 기획된 전시”라며, “초현실주의를 매개로 한국근대미술사를 새롭게 조망하는 이번 전시를 통해 관람객들이 새로운 미적 경험과 시각, 풍성한 영감을 얻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김성우 기자 

twitter facebook me2day 요즘 인쇄
기본을 지키되 새로움을 얹어 고객과...
운명 같은 이끼에 관한 애정과 연구로...
지난 4월 15일 한국프레스센터에서 ‘2025 자랑스러운 기업(기관/인물)&...
청호커피(개똥커피) 제2의 위고비를 ...
덴마크 제약사 노보노디스크에서 개발한 비만치료제 ‘위고비’에 대한 ...
디에스산업개발의 고기능성 방진망...
기존 방범창, 방충망은 대부분 나사나 용접 등으로 고정되어 침수, 화재 ...
가면을 쓴 또 다른 ‘나’
역사가 살아 숨 쉬는 오스만 ...
걸으며 마주하는 이스탄불의 ...
세계를 대표하는 맥주의 성지
반값여행으로 승수효과 창출...
흙수저에서 금수저로 안전한 ...
금제 김종태 서예학 박사
통념을 깬 수묵으로 꿈과 희...
구강악안면외과 전문의가 상주하여 ...
바르게 치료하는 바르다정형외과
최적의 사지연장술‧휜다리 수술로 ...


회사소개 | 찾아오시는길 | 광고문의 | 회원가입약관 | 개인정보취급방침 | 자유게시판 | 목차보기
상호: (주)이코노미뷰 | 주소: 서울특별시 광진구 군자동2-51 영진빌딩402호 | Tel: 070-4727-6728 | Fax: 070-4727-6488 | 사업자등록번호: 206-30-93967
E-mail: whitetyk@naver.com | 블로그주소: http://blog.naver.com/economyview
Copyright ⓒ http://www.economyview.co.kr. All rights reserved.